반응형
가족의 소통
‘많은 불행은 난처한 일과 말하지 않은 채로
남겨진 일 때문에 생겼다.’
(F.도스토예프스키)
‘올바른 말을 선택하면 상황에 따른
상대방의 반작용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데이비드 리버만)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들이다.
가족은 사회공동체의 가장 기초단위로서
사회화의 시작 단계라 할 수 있다.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전통적인 가족기능이 변화, 축소되면서
가족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이로인한
가족내 갈등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족은 갈등을 지속적으로 갖게 되며
완전한 해결책이란 없기에 발생한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고 관리해나가느냐가 중요한 관건이 된다.
사티어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으로
회유형 의사소통, 비난형 의사소통,
초이성형 의사소통, 산만형 의사소통을 제시했다.
역기능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기능적인 의사소통으로
원만하고 책임감있고 정직한 대화와 개방적이고
융통성있는 가족간의 규칙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다면
가족은 활기차고 건강한 가정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가족내 부부간의 문제, 자녀와의 문제,
고부간의 문제 등도 원인은 불신과 불통이다.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
나의 주장이나 생각만이 진리라는 일방통행보다는
상대방을 생각하고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오늘날 사회 전반적으로 소통이 상실되어 가고 있다.
가족내에서부터 대화하고 타협하고
이해하는 소통의 방법부터 실천해 나가야 하겠다.
반응형
'사회복지 > 사회복지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성의 발달과 도덕성의 교육 ,하인즈 딜레마 (0) | 2017.10.16 |
---|---|
노인의 날의 의미 10월1일 (0) | 2017.10.16 |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발달과정 정리 (0) | 2017.10.16 |
기업의 사회적책임 (0) | 2017.10.16 |
고령화사회에서의 노인 자원봉사의 필요성 (0) | 2017.10.16 |